본문 바로가기

RC 놀이/RC바이크97

NSR500 배터리 교체 NSR500에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장착하기 위해 배터리 선 작업을 시도했습니다. 배터리 선이 12게이지로 두꺼운 편인데 길이도 길어 NSR500에 장착하면 하부카울 장착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불필요한 배선을 줄이고자 배선 길이를 짧게 작업 했습니다. +와 - 배선을 동시에 작업하면 작업 중 쇼트가 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배선 하나씩 작업을 했습니다. 그렇게 3개의 배터리 모두 작업을 마쳤습니다. 그리고 NSR500에 사용된 변속기 배선이 짧아 연장 작업을 했습니다. 배터리를 연결하는데 아래 처럼 배기 파이프 연결부품이 있으면 하부카울 장착시 배선이 걸려 카울 장착이 어렵습니다. 밑에서 보니 배터리 선이 튀어나와 카울에 걸려 카울 장착이 않되더군요. 그래서 NSR500 배기 파이프 연결부분을 제거하니 .. 2023. 3. 12.
배터리 구입 교쇼 NSR500에 브러쉬리스를 장착한 후 배터리 문제로 고민을 하게 되네요. 프로텍 수소배터리를 쓰자니 관리가 귀찮아 사용하기가 꺼려지고 18650 리튬이온 배터리를 사용하자니 경험상 순정 모터에 사용하는게 최적이라 브러쉬리스에 사용하기에는 파워 등이 아쉽습니다.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사용하고 싶은데 적당한 크기와 용량의 배터리를 찾기가 쉽지 않네요. 가끔 1000mah 정도 작은 사이즈를 사용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만 용량적인 측면에서 조금 아쉬워 조금 더 큰 용량을 Aliexpress에서 검색해 보던 중 1500mah에 배터리 사이즈가 72*34*14mm 라고 설명되어 있는 배터리가 있길래 구입해 한 달정도 걸려 받았습니다. NSR500의 경우 배터리 트레이 가장자리가 라운딩 처리가 되어 있어 사각 .. 2023. 3. 11.
타이요 YZ-250 비례제어 컨버전 타이요 바이크 비례제어 작업을 위해 분해를 시작했습니다. 처음 분해를 하는데도 불구하고 생각보다 구조가 간단해서인지 크게 복잡하거나 어렵진 않았습니다. 라이더와 프론트 폴크를 제거하기 위해 각각 나사 2개씩 풀어주고 카울 나사 2개, 그리고 측면 나사 8개 정도 풀어주면 쉽게 분해가 되더군요. 분해를 해보니 생각보다 구조가 간단합니다. 그리고 1/5 스케일이라 내부 공간이 넓어 서보와 변속기 그리고 수신기를 장착하는데 조금은 수월할 듯 보입니다. 가장 주의깊게 볼 것이 바로 조향쪽입니다. 서보 위치만 잡아주고 일반 서보혼 끝을 비슷한 구조로 만들어주면 될 것 같습니다. 기판을 제거하고 배터리 트레이 부분도 다 제거해 주었습니다. 참고로 배터리 트레이 부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기판에서 +- 접지 부분을 납.. 2023. 3. 11.
제물이 될 Taiyo YZ-250 지난번 구매한 타이요 YZ-250를 보고 2.4G 비례제어로 만들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때마침 일본 옥션에 배터리가 없는 제품이 경매에 있어 구입했습니다. 2.4G 비례제어의 마루타가 될 타이요 바이크~ 어쩌면 마지막 영정사진이 될 수도 있겠네요. 2023. 3. 10.
배터리 만들기 미니지 바이크 배터리가 귀하다 보니 구하기가 힘들어 배터리를 직접 만들기로 하였습니다. 그래서 알리익스프레스에서 배터리 4개와 2pin JST 1.25mm 커넥터를 구입했습니다. 전체 길이는 미니지 바이크 배터리와 같습니다. 그러나 미니지 배터리 보다 더 홀쭉합니다. 전열 테이프를 벗겨내고 커넥터를 직접 납땜해 교체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납땜을 하려고 보니 노안때문에 안보입니다. 휴대폰으로 확대해서 몇 번을 들여다 본 후 감으로 납땜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원래는 배선을 위 사진처럼 안쪽으로 넣어 납땜을 해야 배선처리가 깔끔한데 그렇게까진 못하겠더군요. 납땜을 완료하고 전열테이프와 글라스테잎으로 손잡이 처리까지 한 후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충전테스트를 했습니다. 4개까지 모두 만들고 난 후 작동.. 2023. 2. 26.
1/6 TAIYO 야마하YZ-250 운좋게 미사용 타이요 야마하 오프로드 바이크 한 대를 구입했습니다. 예전에 이베이에서 몇 번 보긴 했지만 실제로 이걸 구입할 줄이야~~ 1/6 스케일이라 그런지 1/8 스케일인 NSR500 보단 조금 큽니다. 아래쪽에는 배터리 트레이가 있지만 배터리 덮게는 없습니다. 대신 배터리를 양쪽 걸쇠에 걸치는 방식입니다. 7.2V 배터리입니다. 플렉스 팩이라해서 배터리가 반으로 접힙니다. 이렇게 배터리를 반으로 접어 바이크에 장착합니다. 아래쪽 배터리 트레이에 배터리가 쏙 들어가네요. 전용 충전기가 있는데 단점이라면 100V라서 변압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항상 집에 100V 변압기를 사용하고 있어 큰 불편함은 없지만 그렇지 않은 분들은 조금 불편할 수 있을 것 같네요. 그러나 배터리가 NI-CD 타입.. 2023. 2. 25.